♣ 강남의 옛모습과 오늘 ♣
우리가 강남하면 강남같던 제비를 연상하지요
그리고 "친구따라 강남간다"고도 하지요
그럼 과연 강남은 어디일까요?
서울시 강남을 말하는것일까요?
제비가 간다는 그곳은 중국의 화남이란 곳인데
양쯔강 이남 지역으로 푸젠성, 광둥성, 광시장족 자치구가 포함된 지역이고~
이곳은 날씨가 따뜻하고 먹이도 풍부해서 제비를 비롯한 철
새들이 겨울나기가 아주 좋은곳이라 하는군요
그런데 서울의 강남이라는 말은 한강 이남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지요
일반적으로 서울 한강 이남의 동부 지역인 강남구와 송파구 서초구 강동구
등의 지역만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지만 강남이라는 이름이 정착되기 전에는
영등포의 동쪽이라는 의미로 영동(永東)이라는 말이 주로 사용되었지요
그리고 좁은 의미에서의 강남은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를 뜻하기도 하며
그보다 더 좁은 의미로는 강남구와 서초구만을 뜻하기도 한데요
때로는 강남역 또는 강남역 사거리라는 말과 함께 서울의 2대 번화가중
하나인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주변에 형성된 상권을 지칭하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구요
사실 서울의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는 1963년 1월 서울시에 편입되기 전까지만
해도 경기도 광주군, 시흥군, 고양군(각 구와 동에 따라)에 속해 있는 농촌지역
이었지요 영동은 지금의 강남구와 서초구 일대를 일컫는데 과거의 영동지역은
논과 밭 , 과수원 그리고 낮은 야산으로 이루워진 한적한 농촌마을 이었어요
영동지구 개발이 진행된 배경에는 강북의 인구가 6백만이 넘어서면서
“강북의 인구집중 억제” 정책이 필요했고 또 정치적으로 북한에서 언제
대공포를 쏠지 모르는 상황이었으므로 북의 대공포 사정거리가 미치지 않는
강남지역에 인구를 분산시키는 개발정책이 필요하여 1970년 11월 영동
1지구 472만평 2지구 365만평에 대한 개발계획이 발표되었고
1973년 6월에는 영동지역 약 천만평을 개발촉진지구로 지정했지요
이때부터 평범한 시골마을이었던 강남이 지금은 우리나라 최대의
부촌이되는 신화가 시작되었어요
그럼 먼저 강남의 옛사진들을 한번 구경해 볼까요?
▲ 지금의 강남, 송파, 잠실일대 ...

▲ 지금의 신사동 사거리 부근 ...

▲ 전형적인 옛날 시골마을 이었지요(신사동 부근마을) ...

▲ 옛날 논현동 일대
영동지구(강남)는 대부분이 논과 밭이 있는 전형적인 농촌마을 이었어요...

▲ 제3한강교가 건설되기 전까지는 한남동에서 강남 신사동을 가는 가장빠른
길은 나룻배였어요 한강다리는 새 문명의 도래이기도 했지요 1962. 8. 13. ...

▲ 강남 신사동쪽에서 출발한 나루배가 강북 한남동 나룻터를 향하고 있어요
소형 고기잡이 배와 대조적인 모습
1960년대에는 강건너 강변(현 산사동, 반포 일원)에는 여느 시골 모습처럼
미류나무가 늘어서 있는 모습 그대로이지요....

▲ 1969.12. 26 제3한강교 개통으로 역사속으로 사라지는 마지막 나룻배가
떠나고 있어요
이 배는 본래 목적의 용도를 보여주고 있는 모습이지요
사람이 조금 많이 탄것 외에는 시골에서의 그것과 별반 다를게 없어요

▲ 제3한강교 공사가 시작되는 현장 1966년 ...

▲ 제3한강교 공사(현 한남대교) 1969년 ...

▲ 신사동과 한남동을 연결하는 제3 한강교 모습 ...

▲ 제3한강교(한남대교) 1969년12월25일 개통 ...
